SQLD(19)
-
[SQL] VIEW
1. VIEW -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DML 작업이 가능한 가상의 테이블 -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미리 정의해 둔 형태 - 다른 뷰 참조 가능 2. CREATE CREATE OR REPLACE VIEW 뷰 이름 ( COLOMN 별칭 --옵션 ) AS SELECT 구문 ※옵션 WITH READ ONLY --SELECT만 가능 WITH CHECK OPTION [CONSTRAINT 제약조건명] --WHERE 절의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변경 가능 - OR REPLACE : 뷰 DROP 없이 바로 수정 가능함 3. DELETE(DROP) DROP VIEW 뷰이름 ※ 특징 - 한 테이블로 이루어진 단순 뷰의 경우, DML 사용 가능 (WITH READ ONLY 옵션 ..
2021.12.03 -
[SQL] SELECT, INSERT, UPDATE, DELETE, MERGE
1. SELECT 조회 ※필수 SELECT 필드 FROM 테이블명 ※옵션 WHERE 조건 GROUP BY 조건 HAVING 조건 ORDER BY 조건(default.ASC) 2. INSERT 삽입 INSERT INTO 테이블명 ( 필드1, 필드2, ... ) VALUES ( 값1, 값2, ... ) 컬럼의 수와 값의 수가 같은 경우, 컬럼 명시는 생략 가능하고, 값은 반드시 컬럼의 순서대로 들어가야 한다. 3. UPDATE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1 = 값1, 필드2 = 값2, ... WHERE 조건 4. DELETE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5. MERGE 삽입 또는 수정 MERGE INTO 테이블명 USING [ DUAL(단일테이블) | 조인테이블명 ] ON ..
2021.12.02 -
[SQL] DDL, DML, DCL, TCL
※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 : 구조적 질의어. DB를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언어. 크게 DDL, DML, DCL 3가지로 나눠진다. 1. DDL ( Data Definition Languange, 데이터정의어 ) 명령어 설명 CREATE 데이터 구조 생성 ALTER 데이터 구조 변경 DROP 데이터 구조 삭제 TRUNCATE 데이터 구조 초기화 COMMENT 설명 추가, 변경 등 ※ RENAME 등도 있음 2. DML ( Data Management Language, 데이터조작어 ) 명령어 설명 SELECT 테이블 데이터 조회 INSERT 테이블 데이터 추가 UPDATE 테이블 데이터 변경 DELETE 테이블 데이터 삭제 MERGE 테이블 데이터 추가 또는 변경 ※..
2021.12.01 -
[SQLP] 이론 4. DB Server Multiplexing
1. 다중화 특징 - 데이터 장기간 보존 - 갱신을 통한 정합성이 중요함 2. 유형 : 업무, 기술, 비용, 운영 등을 모두 고려하여 선택 필요 - Active-Active : 동시 가동, 저장소는 1개 (저장소 병목 발생할 수 있음), 성능상 유리 ex) Oracle - RAC, Tibero - TAC 등 - Active-Standby : Active만 운영, 저장소는 1개 (저장소 병목 발생 X) - Replication : DB-저장소 세트, 데이터 동기화 중요함 (데이터 소실 가능성 있음), 고비용 3. 성능추구를 위한 다중화 - Shared DIsk : Active-Active 구성, 서버를 늘려도 한계점에 도달함 - Shared Nothing : 서버-저장소 세트를 늘려 병렬처리, 세트 수에 ..
2021.11.18 -
[SQLP] 이론 3. What is Architecture?
1. 아키텍처 (Architecture) -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물리 레벨의 조합 (서버, 하드, 네트워크 등 시스템 전반적인 인프라 환경) - 시스템의 용도, 목적 추측 가능 2. IT 아키텍처 -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 - 시스템의 목적, 서버, OS, 미들웨어, 저장소 등의 다양한 지식 필요 - 비용산정도 중요함 (최소비용 최대효율을 내야함) 3. 역사 - Stand-alone : 네트워크 접속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 1) 장점 : 구축 과정 간단, 네트워크 연결 불가로 보안성이 높음 2) 단점 :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면 접근 불가, 1명만 이용 가능, 서버가 1대(낮은 가용성), 확장성 부족 - Client/Server :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복수 사용자의 동시 사용, 계층..
2021.11.18 -
[SQLP] 이론 2. What is RDBMS and SQL?
1.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key 와 value 들의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DB ex) Excel 과 같은 형태 - 관계형 모델 : 집합론에 기반을 둔 DB Model 1. PK (Primary Key) 가 있음 2. Column = Field = Attribute (세로로 보는 데이터, 열) 3. Row = Record = Tuple (가로로 보는 데이터, 행) - 혁신성 1. 역사적 : 최초의 2차원 표를 이용한 DB S/W 2. 기능적 : SQL 언어를 이용한 데이터 Control, 생산성 확대 2.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 RDBMS 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 된 프로그래..
2021.11.15 -
[SQLP] 이론 1. What is Database?
1. Database -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된 체계적 데이터의 모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 2.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다수의 사용자들이 DB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S/W 도구 ex) Oracle, MongoDB 등 - 특징 1. 실시간 접근성 2. 계속적인 변화 3. 동시공유 :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 공유 4. 내용에 따른 참조 - 기능 1. 기본기능 :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2. 동시성 제어 ex) 이선좌 방지 등 3. 장애 대응 : 복원이 가능해야함 4. 보안 : 보안에 위배되지 않는 데이터만 조회해야함 - DBMS 종류 (저장 방식에 따른 구분) 1. 계층형 2. 관계형 : Orac..
2021.11.15 -
[SQLP] <국가공인 SQLP 자격검정 핵심노트 1, 2 (DBian)>
SQLD를 딸까 했는데, 조건도 되고 SQLD는 조금 훑어보니 대학시험 수준이라 그냥 바로 SQLP를 따기로 결정했다! SQLP는 어렵다고 해서 인강을 들을까 독학을 할까 고민했는데, 우선은 이론서 기준으로 독학해보고 부족하다 싶으면 인강을 끊어보려고 한다. 우선은 유일한(?) SQLP 도서인 것 같은 이 책. (1, 2 로 나뉘어져 있다.) 너무 최신도서라 아직 평은 없지만, 첫 리뷰어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공부 스타트! 문제만 있는 도서긴 한데 파트별로 문제 풀어보면서 개념정리좀 해보려고 한다😲 뽜이팅❤
2021.11.12 -
[SQLP] 시작
최근 업무를 하다가 쿼리 짜는게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 CRUD 외에 조금만 복잡도가 올라가도 쿼리 짜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손가락이 기억하는 쿼리(?)를 짜다 보니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짜는 쿼리들이 수두룩한 것 같았다. SQL에 관해 전반적으로 한 번 제대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뭔가 목적이 생기면 공부를 좀 능동적으로 할 것 같아서, 목표를 한 번 가져보기로 했다.🤔 역시 정하기 쉬운 목표는 자격증이랄까? 자격증 시험이란게 사실 대부분 족보시험이겠지만, 그래도 족보 없이 전체적으로 개념정리를 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SQLP/D 로 결정했다. 올해 시험은 다 지나갔으니, 내년 첫 시험을 목표로 이제부터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티스토리도 다시 환생(?)시켰으니, ..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