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
-
[SQLP] 이론 1. What is Database?
1. Database -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된 체계적 데이터의 모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 2.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다수의 사용자들이 DB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S/W 도구 ex) Oracle, MongoDB 등 - 특징 1. 실시간 접근성 2. 계속적인 변화 3. 동시공유 :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 공유 4. 내용에 따른 참조 - 기능 1. 기본기능 :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2. 동시성 제어 ex) 이선좌 방지 등 3. 장애 대응 : 복원이 가능해야함 4. 보안 : 보안에 위배되지 않는 데이터만 조회해야함 - DBMS 종류 (저장 방식에 따른 구분) 1. 계층형 2. 관계형 : Orac..
2021.11.15 -
[SQLP] <국가공인 SQLP 자격검정 핵심노트 1, 2 (DBian)>
SQLD를 딸까 했는데, 조건도 되고 SQLD는 조금 훑어보니 대학시험 수준이라 그냥 바로 SQLP를 따기로 결정했다! SQLP는 어렵다고 해서 인강을 들을까 독학을 할까 고민했는데, 우선은 이론서 기준으로 독학해보고 부족하다 싶으면 인강을 끊어보려고 한다. 우선은 유일한(?) SQLP 도서인 것 같은 이 책. (1, 2 로 나뉘어져 있다.) 너무 최신도서라 아직 평은 없지만, 첫 리뷰어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공부 스타트! 문제만 있는 도서긴 한데 파트별로 문제 풀어보면서 개념정리좀 해보려고 한다😲 뽜이팅❤
2021.11.12 -
[SQLP] 시작
최근 업무를 하다가 쿼리 짜는게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 CRUD 외에 조금만 복잡도가 올라가도 쿼리 짜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손가락이 기억하는 쿼리(?)를 짜다 보니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짜는 쿼리들이 수두룩한 것 같았다. SQL에 관해 전반적으로 한 번 제대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뭔가 목적이 생기면 공부를 좀 능동적으로 할 것 같아서, 목표를 한 번 가져보기로 했다.🤔 역시 정하기 쉬운 목표는 자격증이랄까? 자격증 시험이란게 사실 대부분 족보시험이겠지만, 그래도 족보 없이 전체적으로 개념정리를 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SQLP/D 로 결정했다. 올해 시험은 다 지나갔으니, 내년 첫 시험을 목표로 이제부터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티스토리도 다시 환생(?)시켰으니, ..
2021.11.06